본문 바로가기

아두이노

아두이노 호환보드 목적에 맞게 선정하기

아두이노 IoT 버전 같은것도 사실 마찬가지지만,

 

크게 나누면 WiFi가 지원되는 개발보드,

WiFi와 블루투스가 동시에 지원되는 개발보드,

그리고 기본 아두이노 우노 처럼 통신을 위해선 별도 모듈이 포함된 보드로 구분할 수 있겠다.

추가적으로 심카드를 넣고 3G네트워크에 연결가능한 버전이나 블루투스만 가능한 버전도 있긴 하다.

 

WiFi만 지원되는 경우

ESP8266칩을 이용하는게 보통이다.

 

WiFi + 블루투스인 경우

ESP32칩을 이용한다.

 

 

우선 ESP8266 개발보드를 보면...

이 3가지가 제일 흔하다고 볼 수 있겠다.

ESP-01처럼 IO단자가 4개만 있는것부터 10개 이상 있는 nodeMCU나 Wemos D1 Mini 같은게 있다.

가격은 개당 1500원~3000원 정도 선에서 구매 가능하다. 물론 두배씩 비싸게 파는데도 많다.

어플리케이션에 맞춰서 지극히 단순하면 ESP-01로도 충분하고 연결한 센서 같은게 많으면

Wemos D1 Mini를 활용하면 된다. nodeMCU는 Wemos와 겹치는게 많아서 더 작은 Wemos가 쓸데가 더

많아 보인다. 내장버튼 등 약간 다른 부분도 있으니 필요에 따라 골라쓰면 된다.

 

ESP32 개발보드는 조금더 종류가 다양하다

Wemos (LOLIN D32)

 

기본적인 개발보드 외에 

아래와 같이 카메라가 포함된 보드도 있다.

 

LCD 디스플레이가 포함된 보드도 있다.

BLE 4.2까지 지원하고

기본 개발보드 가격이 $4는 넘는 편이다.

 

ESP32보드와 유사하지만

조금더 WiFi 와 BLE 스펙이 좋은게

RTL8720DN 칩을 사용한 rtlduino 같은게 있다.

5GHz WIfi도 지원하고 BLE 5.0도 지원한다.

그 외에는 대동소이하다. 가격은 $6 선에서 구할 수 있는 듯 하다.

 

 

 

참고로 아두이노 정품의 경우 조금 ESP32라는 걸 숨기는 것 같다.

아두이노 나노 33 IoT 모델의 스펙을 보면 NINA-W10시리즈를 쓴다고 하는데

 

 그 스펙을 보면 역시나 ESP32이다.